사회
사회일반
김제시 '새만금 행정구역 확보' 의지 결집
신항만ㆍ동서도로… 용역 최종보고회 및 정책 세미나
기사입력: 2023/07/25 [14:09]  최종편집: ⓒ 브레이크뉴스 전북 서남
심현지 기자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전북 김제시가 새만금 '신항만'과 '동서도로' 행정구역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시민 인식 확산 및 의지 결집에 폭발력을 높이기 위해 지난 24일 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에서 개최한 대응 전략 마련 용역 최종보고회와 학술 세미나에서 정성주(가운데) 시장이 주요 참석자와 퍼포먼스를 연출하고 있다. / 사진제공 = 김제시청  © 심현지 기자



 

 

전북 김제시가 새만금 '신항만''동서도로'행정구역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시민 인식 확산 및 의지 결집에 폭발력을 높이기 위해 지난 24일 대응 전략 마련 용역 최종보고회와 학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에서 열린 최종보고회 및 정책 세미나에 정성주 시장을 비롯 김제시의회 김영자 의장ㆍ새만금미래김제시민연대 강병진 위원장 및 전문가와 시민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시기(市旗)를 선두로 대형 구호 깃발 입장 퍼포먼스와 용역 최종보고회ㆍ정책 세미나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정성주 시장은 이 자리에서 "새만금 신항만 및 동서도로 관할권을 확보해 새만금 해양 중심도시로 힘차게 도약해 나아갈 수 있도록 힘을 모으자"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새만금을 김제시의 미래이자 희망의 땅으로 만들 수 있는 백년대계(百年大計)의 기틀을 다지기 위해 법과 원칙에 따른 관할권 확보 및 각종 사업발굴을 통해 '전북권 4대 도시'로 웅비하는 김제를 만들어 가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밝혔다.

 

새만금 미래 김제시민연대 강병진 위원장은 "김제시와 새만금의 현재와 미래를 공유하기 위해 새만금 합리적 행정구역 설정에 학술 세미나 및 최종보고회를 개최하게 됐다""새만금 동서도로와 신항만 관할권을 확보하는 그날까지 시민연대가 앞장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부 정책 세미나는 원광대 도시공학과 이양재 교수가 좌장을 맡고 전문가들과 김제시의회 오승경 의원이 토론자로 나서 열띤 논쟁을 펼치는 시간을 통해 시민의 공감대 형성과 의지를 결집 시켰다.

 

김제시는 지난해 10'새만금 신항만 및 해양공간 관할권 확보'를 위한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해 전문가 용역을 추진했다.

 

한편, 201611월 준공된 '새만금 신항만 방파제'는 해수부 군산지방해양수산청이 지적공부 등록을 추진, 새만금 3개 시ㆍ군의 관할권 논의 핵심으로 급부했으며 현재 행정안전부 중앙분쟁 조정위원회 안건으로 상정돼 심의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imje city's determination to 'secure the Saemangeum administrative district'

New PortDongseo RoadService final briefing and policy seminar

 

Reporter Shim Hyun-ji

 

While Gimje-si, North Jeolla Province, is concentrating its efforts on securi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aemangeum'New Port' and'East-West Road', it held an academic seminar and a final briefing session on preparing a response strategy on the 24th to increase the explosive power of public awareness and concentration.

 

On this day, the final briefing and policy seminar held at the Small Hall of the Culture and Arts Center were attended by about 300 people, including Mayor Jeong Seong-ju, Chairman Kim Young-ja of the Gimje City Council, Chairman Kang Byeong-jin of the Saemangeum Future Gimje Citizens' Solidarity, and experts and citizens.

 

Mayor Jeong Seong-joo said at this meeting, "Let's gather our strength so that we can take a strong leap forward as a central maritime city in Saemangeum by securing jurisdiction over Saemangeum New Port and Dongseo-do."

 

At the same time, he expressed his firm will to make Gimje fly into the 'four largest cities in the Jeonbuk region' by securing jurisdiction in accordance with laws and principles and discovering various businesses to lay the foundation for a hundred-year plan that can make Saemangeum the future and land of hope for Gimje City."

 

Kang Byeong-jin, chairman of the Saemangeum Future Gimje Citizens' Solidarity, said, "In order to share the present and future of Saemangeum and Saemangeum, we held an academic seminar and final report on the establishment of a reasonable administrative district in Saemangeum."

 

The second part of the policy seminar was chaired by Professor Lee Yang-jae of the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at Wonkwang University, and the experts and Kimje City Council member Oh Seung-gyeong acted as debaters and engaged in heated debates to form a consensus among citizens and consolidate their will.

 

In October of last year, Kim Je-si promoted an expert service to prepare a response strategy for 'Securing Saemangeum New Port and Maritime Space Jurisdiction'.

 

Meanwhile, the 'Saemangeum New Port Breakwater', which was completed in November 2016, was promoted by the Gunsan Regional Office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of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to register the cadastral study and provided it as the core of the discussion on the jurisdiction of the three cities and counties of Saemangeum.

<ⓒ 브레이크뉴스 전북 서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목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고창군 '관광사진 공모전 수상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