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읍시 '신용 회복, 최대 100만 원' 지원
학자금 장기 연체 청년 대상… 분할 상환 약정 초입금
기사입력: 2025/03/27 [11:30]  최종편집: ⓒ 브레이크뉴스 전북 서남
김현종 기자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정읍시가 신용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경제적 부담에서 벗어나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청년 학자금대출 연체자 신용 회복'을 지원한다. (정읍시청 전경) / 사진 = 브레이크뉴스 전북취재본부 DB  © 김현종 기자



 

전북자치도 정읍시가 신용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경제적 부담에서 벗어나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청년 학자금대출 연체자 신용 회복'을 지원한다.

 

정읍시는 학자금 상환 부담으로 사회 진입부터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2022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신용 회복 지원사업을 올해도 중단없이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청년 학자금대출 연체자 신용 회복'은 한국장학재단에서 학자금을 대출받은 뒤 장기 연체로 신용 위기에 놓인 청년들에게 분할 상환 약정 체결에 필요한 초입금(채무 원금 10%1인당 최대 100만원)을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한국장학재단은 이를 통해 신용도 판단 정보를 해제하고 연체이자(지연배상금)를 감면해 준다.

 

분할 상환 기간은 채무액에 따라 최대 20년까지 가능하다.

 

올해부터는 초입금 지원율을 기존 5%에서 10%로 상향 운영해 10% 전액을 납부하면 지연배상금 전액을 감면받을 수 있다.

 

지원 대상은 공고일 기준 정읍시에 1년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18세 이상 45세 이하로 한국장학재단에 신용도 판단 정보가 등록된 청년이다.

 

신청은 오는 11월 말까지며 일자리경제과를 방문하거나 이메일로 신청하면 된다.

 

신용도 등록 여부는 한국장학재단 신용 회복 지원 상담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지원 사업에 따른 기타 문의는 청년지원팀에서 안내받을 수 있다.

 

일자리경제과 김영심 과장은 "청년층의 부채는 소비 위축 및 혼인ㆍ출산 포기 등 사회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이 사업이 청년들의 취업과 경제활동 재개의 디딤돌이 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신용유의자로 등록되면 카드 사용과 대출 제한은 물론 일부 금융기관 관련 직장 취업에도 제약이 따른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Jeongeup City 'Credit Recovery, Up to 1 Million Won' Support

For young people with long-term student loan arrearsInitial deposit for installment repayment agreement

 

Reporter Kim Hyeon-jong

 

Jeonbuk Autonomous Province Jeongeup City is supporting 'Youth Student Loan Delinquent Credit Recovery' so that young people who are struggling with credit issues can escape the financial burden and develop their capabilities.

 

Jeongeup City announced on the 27th that it will continue to promote the credit recovery support project that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22 so that young people who are struggling to enter society due to the burden of student loan repayment can become self-reliant.

 

The 'Youth Student Loan Delinquent Credit Recovery' is to support the initial deposit (10% of the principal amount of the debt, up to 1 million won per person) required to sign an installment repayment agreement for young people who have received student loans from the Korea Student Aid Foundation but are in a credit crisis due to long-term delinquency.

 

Through this, the Korea Student Aid Foundation releases credit rating information and reduces overdue interest (late payment penalty).

 

The installment repayment period can be up to 20 years depending on the debt amount.

 

Starting this year, the initial deposit support rate has been increased from 5% to 10%, so if you pay the full 10%, you can receive a full reduction in late payment penalty.

 

The support target is a young person who has been registered as a resident of Jeongeup City for more than one year as of the announcement date, is 18 to 45 years old, and has credit rating information registered with the Korea Student Aid Foundation.

 

Applications are due by the end of November, and can be made by visiting the Job and Economy Division or by email.

 

You can check whether your credit rating has been registered at the Korea Student Aid Foundation Credit Recovery Support Counseling Center, and for other inquiries about the support program, you can contact the Youth Support Team.

 

Director Kim Young-shim of the Job and Economy Division said, "Young people's debt can have negative effects on society as a whole, such as shrinking consumption and giving up on marriage and childbirth," and added, "I hope this program will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young people to find jobs and resume economic activities."

 

Meanwhile, if you are registered as a credit risk, you will be restricted from using credit cards and taking out loans, as well as being restricted from getting jobs at some financial institutions.

<ⓒ 브레이크뉴스 전북 서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목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제3회 고창 벚꽃축제 '개막'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