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안 점방산 봉수 '사적' 지정
조선 후기 군사ㆍ통신 시설… 연속유산 제5로 직봉 28번째
기사입력: 2023/11/23 [18:01]  최종편집: ⓒ 브레이크뉴스 전북 서남
이한신 기자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바닷길을 감시했던 조선 후기 군사ㆍ통신 시설로 조선시대 단종 2년(1454) 이전에 설봉돼 후기에 일시 폐봉됐다 복설돼 고종 32년(1895) 윤 5월 6일까지 국가경영의 기간통신망으로 운영됐던 전북 부안 점방산 봉수 유적. / 사진제공 = 부안군청  © 이한신 기자

 

▲ 전남 여수∼서울 목멱산 노선에 있던 '제5로 직봉(直烽)' 봉수 노선지도 및 전북 부안 점방산 봉수 위치(출처 = 문화재청 전국 봉수 유적 기초학술조사 2015) / 사진제공 = 부안군청  © 이한신 기자




 

 

바닷길을 감시했던 조선 후기 군사ㆍ통신 시설인 '5로 직봉(전남 여수서울 목멱산)'노선에 있는 전북 부안 점방산 봉수 유적이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5로 직봉(直烽)'연속유산으로 지정됐다.

 

23일 부안군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지난 22관련 노선 61개 봉수 유적 가운데 역사적ㆍ학술적 가치와 잔존 상태 및 유구 확인 여부 등을 고려해 16개소가 '5로 직봉'으로 지정했다.

 

직봉(直烽)은 조선 후기 변방과 한양을 연결한 다섯 간선로 상에 있는 봉수(烽燧)를 말한다.

 

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ㆍ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됐다.

 

남ㆍ북 주요 끝점에서 시작해 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했다.

 

전북 부안 점방산 '봉수(烽燧)'여수 방답진 돌산 도봉수에서 시작하는 '5로 직봉'노선의 28번째 연변봉수로 봉수를 상징하는 연대(煙臺)가 이번에 지정된 직봉 가운데 가장 웅장하고 형태가 잘 보존돼 있다.

 

점방산 봉수 유적은 조선시대 단종 2(1454) 이전에 설봉돼 후기에 일시 폐봉됐다 복설돼 고종 32(1895) 56일까지 국가경영의 기간통신망으로 운영됐다.

 

학술발굴조사를 통해 연대 및 연조와 방호벽ㆍ창고 등 봉수의 후망ㆍ거화ㆍ방호ㆍ저장시설이 온전하게 남아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뛰어나 과거 통신체계를 이해하는데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권익현 군수는 "부안 점방산 봉수 유적이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5로 직봉'연속유산으로 지정된 것을 계기로 봉수 유적의 역사ㆍ학술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등 부안 봉수 유적의 보전과 활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1908)'에 따르면 조선 후기 중앙정부는 부산 응봉과 서울 목멱산 제2 봉수를 연결한 '2로 직봉(육군인 병사(兵使)가 급보(急報) 목적으로 운영)'과 전남 여수 돌산도에서 서울 목멱산 제5 봉수를 연결한 '5로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을 운영했으며 전체 노선에 총 655개가 존재했다.

 

'5로 직봉'은 수군인 수사(水使) 관리 아래 요새 기능에 중점을 두고 왜구가 침투하는 바닷길을 감시하기에 탁월한 위치에 조성됐다.

 

사적으로 관리될 '5로 직봉' 16개소는 여수 돌산도 봉수 고흥 마북산 봉수 고흥 장기산 봉수 장흥 전일산 봉수 해남 좌곡산 봉수 해남 달마산 봉수 해남 관두산 봉수 진도 첨찰산 봉수 무안 고림산 봉수 영광 고도도 봉수 부안 점방산 봉수 논산 황화대 봉수 논산 노성산 봉수 천안 대학산 봉수 평택 괴태곶 봉수 강화 망산 봉수 등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uan Jeombangsan Mountain beacon designated as 'historic site'

Military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5th consecutive legacy, 28th straight salary

 

Reporter Lee Han-shin

 

The remains of Jeombangsan Mountain beacon in Buan, Jeollabuk-do, located on the '5th Road Jikbong(Yeosu, Jeollanam-do - Mokmyeoksan, Seoul)' route, which was a military and communication facili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monitored the sea route, has been designated as a nationally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historic site, '5th Road Jikbong(直烽)' continuous heritage. designated.

 

According to Buan County on the 23rd, on the 22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designated 16 of the 61 beacon relics along related routes as the '5th direct beacon' in consideration of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 remaining condition, and confirmation of remains.

 

Jikbong(直烽) refers to a beacon(烽燧) located on the five main roads that connected the outskirt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o Hanyang.

 

'Bongsu(烽燧)', a communication system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installed according to the agreed upon signal transmission system to notify the central army and local town officials of the intrusion of foreign enemies through torches at night and smoke during the day.

 

They started from the main end points of the South and North and gathered at the current Namsan Mountain.

 

Jeombangsan Mountain's 'Bongsu' in Buan, Jeollabuk-do is the 28th beacon beacon along the '5th Jikbong' route starting from Dobongsu on Dolsan Mountain in Bangdapjin, Yeosu. It is preserved.

 

The Jeombangsan beacon site was built before the second year of King Danjong's reign(1454)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was temporarily clos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rebuilt and operated as a key communication network for national management until May 6, the 32nd year of King Gojong's reign(1895).

 

Through academic excavation, it was evaluated that the retrieval, construction, protection, and storage facilities of the beacon water, such as the regiment, railings, protective walls, and warehouses, remained intact, and thus had excellent cultural property value and were of high academic value in understanding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ast.

 

County Governor Kwon Ik-hyeon said, "With the designation of Buan Jeombangsan Mountain Beacon Remains as a nationally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site and '5th Road Jikbong' continuous heritage, we will do our best to preserve and utilize Buan Beacon Remains, including by reexamining the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 of the Beacon Remains."said.

 

Meanwhile, according to the 'Jeungbomunheonbigo(增補文獻備考 = 1908)',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nected the second beacon of Eungbong in Busan with the second beacon of Mokmyeoksan in Seoul, and built a 'second road for direct reporting(for the purpose of dispatching dispatches to soldiers). It operated 23 temporary routes, including '5th Road Jikbong', which connected Dolsando Island in Yeosu, Jeollanam-do to the 5th Beacon of Mokmyeok Mountain in Seoul, and there were a total of 655 routes on all routes.

 

'Fifth Road Jikbong' was built in an excellent location to monitor the sea route where Japanese pirates infiltrate, focusing on the function of a fortress under the management of the naval force, Susa.

 

The 16 ‘Fifth Road Jikbong’ locations that will be managed privately are Yeosu Dolsando beacon Goheung Mabuksan beacon Goheung Janggisan beacon Jangheung Jeonilsan beacon Haenam Jwagoksan beacon Haenam Dalmasan beacon Haenam Gwandusan beacon Jindo Cheomchalsan beacon Muan Gorimsan beacon Yeonggwang Gododo beacon Buan Jeombangsan beacon Nonsan Hwanghwadae beacon Nonsan Noseongsan beacon Cheonan Daehaksan beacon Pyeongtaek Goetaegot beacon Ganghwa Mangsan beacon.

<ⓒ 브레이크뉴스 전북 서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목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고창 선운산 '꽃무릇' 활짝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