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읍시 '제57회 동학농민혁명기념제' 개최
11일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대동세상(大同世上) 구현
기사입력: 2024/05/03 [12:22]  최종편집: ⓒ 브레이크뉴스 전북 서남
김현종 기자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동학농민혁명 '제130주년 국가기념식'과 '제57회 동학농민혁명기념제'가 황토현 전승일인 오는 11일 정읍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에서 개최된다. / 사진제공 = 정읍시청   © 김현종 기자



 

 

 

동학농민혁명 '130주년 국가기념식'이 오는 11일 정읍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에서 개최된다.

 

이날 제57회 동학농민혁명기념제도 황토현 전승일에 맞춰 같은 장소에서 열린다.

 

전북자치도 정읍시는 "올해 기념제 주제는 동학농민혁명이 꿈꿨던 만민 평등 정신과 자주독립 의지를 계승하고 동학농민군이 최초로 승리한 역사의 현장에서 정체성을 새롭게 수립하는 등 혁명 도시 위상 제고 의미를 담아 '동학농민혁명, 모두의 하늘을 열다'로 결정했다"3일 밝혔다.

 

특히 동학농민혁명 130주년을 맞아 전국 동학농민혁명 단체가 대거 참석할 예정이다.

 

이들 단체는 기념공원 사발통문 광장에 집결해 만장과 깃발을 들고 선언문을 낭독하며 1894년 당시 농민군 승리의 함성을 외치는 퍼포먼스(한마음 한뜻으로)를 선보인다.

 

, 시민ㆍ나라풍물패ㆍ청소년ㆍ지역 문화예술인 등 511명이 행진하는 동안 플래시몹 예술 행위인 '그날의 함성' 퍼포먼스도 진행한다.

 

퍼포먼스에는 이학수 정읍시장과 9일부터 3일간 동학농민혁명 기념공원에서 개최될 '3회 세계혁명도시 연대회의'참석 예정인 아일랜드 코크시 키아란 존 맥카시 시장과 아르헨티나 알타그라시아의 마르코스 토레스 리마 시장 등이 직접 참석해 응원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어린이 합창대회 청소년 토론대회 댄스 경연대회 등을 개최해 전 연령대가 동학농민혁명의 참된 의의를 깨닫고 청소년의 시각으로 재조명해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한다.

 

또한 기념공원 일원에 옛 말목장터(동학농민혁명의 첫 횃불을 든 역사의 현장 교통 요충지)를 재현해 행사장을 찾는 방문객들에게 먹거리ㆍ볼거리ㆍ살거리 등을 제공하는 부스도 운영된다.

 

정읍의 다도문화를 전파하기 위해 '자생차 페스티벌'도 운영한다.

 

이학수 정읍시장은 "올해 기념제는 제130주년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식과 같은 날 같은 장소에 열려 농민군의 값진 승리를 더욱 빛낼 것으로 기대한다""동학농민군의 숭고한 애국애족 정신이 전 국민에게 온전히 전달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동학농민혁명의 위대한 정신을 더욱 계승하고 발전시켜 세계사적 혁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모으겠다"고 덧붙였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Jeongeup City holds '57th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Festival'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Park on the 11thImplementation of Daedong World

 

Reporter Kim Hyun-jong

 

The '130th Anniversary National Memorial Ceremon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ill be held a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Park in Jeongeup on the 11th.

 

On this day, the 57th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Ceremony will be held at the same location to coincide with the Hwangtohyeon Victory Day.

 

Jeongeup City, Jeonbuk Self-Governing Province said, "The theme of this year's commemoration is 'Donghak Peasant Revolution' with the meaning of enhancing the status of a revolutionary city by inheriting the spirit of equality for all people and the will for independent independence dreamed of by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establishing a new identity at the historical site where the Donghak Peasant Army first won.""We decided to open the sky for everyone,"he announced on the 3rd.

 

In particular, to commemorate the 130th anniversar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 large number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organizations from around the country are scheduled to attend.

 

These groups gather at Sabaltongmun Square in the Memorial Park and present a performance(with one mind and one voice) in which they hold banners and flags, read a declaration, and shout the shouts of victory for the peasant army in 1894.

 

In addition, while 511 people, including citizens, national music groups, youth, and local cultural artists, will march, a flash mob art performance called 'Shout of the Day' will also be held.

 

The performance included Jeongeup Mayor Lee Hak-soo, Ireland's Cork City Mayor Ciaran John McCarthy, who is scheduled to attend the '3rd World Revolutionary Cities Solidarity Conference' to be held a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Park for three days from the 9th, and Argentina's Alta Gracia Mayor Marcos Torres Lima. I plan to attend in person and support.

 

In addition, children's choir competitions, youth debate competitions, and dance competitions will be held so that people of all ages can realize the true significance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reexamine it from the perspective of youth to find a way forward.

 

In addition, a booth will be operated in the area of ​​the memorial park that will recreate the old horse ranch(a historical transportation hub that held the first torch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provide food, things to see, and things to buy to visitors to the event venue.

 

The 'Jaseng Tea Festival' is also operated to spread Jeongeup’s tea ceremony culture.

 

Mayor Lee Hak-soo of Jeongeup said, "This year's commemoration ceremony will be held on the same day and in the same place as the 130th anniversary Donghak Peasant Revolution National Memorial Ceremony, and we expect to further highlight the valuable victory of the peasant army." "I hope it will be," he said.

 

He added, "We will gather administrative power to further inherit and develop the great spirit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establish it as a world-historic revolution."

<ⓒ 브레이크뉴스 전북 서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목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고창군 '관광사진 공모전 수상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