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익현 부안군수가 9일 청사 5층 대회의실에서 인구절벽 시대 지방소멸 극복 해답을 찾는 핵심 정책을 발표하는 신년 기자 간담회를 갖고 있다. / 사진제공 = 부안군청 기획감사실 최광배 © 김현종 기자
|
▲ 권익현 군수가 "올해는 민선 8기 부안 군정의 다양한 성과를 결실로 맺어야 하는 중요한 해"라며 "대내외적인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동시에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군정 성과를 큰 결실로 맺어 지속 가능한 부안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 사진제공 = 부안군청 기획감사실 최광배 © 김현종 기자
|
▲ 권익현 군수가 "부안의 다음 세대들이 더 큰 꿈을 꾸고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수 있도록 행정력을 모으겠다"며 "새만금 농생용지 7공구 국가산단 지정과 국제케이팝학교유치 및 서해안 철도망 구축 사업 국가계획 반영 등이 실현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모으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 사진제공 = 부안군청 기획감사실 최광배 © 김현종 기자
|
▲ 권익현 부안군수가 '직장운동경기부 남자유도 실업팀 창단 배경ㆍ 양육점 수용 배경 및 송전선로 설치' 등에 관련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 사진제공 = 부안군청 기획감사실 최광배 © 김현종 기자
|
▲ 신년 기자간담회에 배석한 신임 정화영(가운데) 부군수와 임택명(오른쪽) 경제산업국장이 생활인구 유입 방안 등 기자들의 쏟아지는 질문을 메모하고 있다. / 사진제공 = 부안군청 기획감사실 최광배 © 김현종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 권익현 부안군수가 9일 열린 신년 기자 간담회에서 인구절벽 시대 지방소멸 극복 해답을 찾는 핵심 정책을 발표했다.
권 군수는 이 자리에서 "지난해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예산 8,000억 원 달성ㆍ부안형 수소산업을 중심으로 한 친환경에너지 신산업 육성ㆍ격포 대규모 관광 개발 사업 기공 등 다양한 성과를 창출했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올해는 민선 8기 부안 군정의 다양한 성과를 결실로 맺어야 하는 중요한 해"라며 "대내외적인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동시에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군정 성과를 큰 결실로 맺어 지속 가능한 부안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부안의 다음 세대들이 더 큰 꿈을 꾸고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수 있도록 행정력을 모으겠다"며 "새만금 농생용지 7공구 국가산단 지정과 국제케이팝학교유치 및 서해안 철도망 구축 사업 국가계획 반영 등이 실현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군민 모두가 한마음으로 협력해 목표를 이루고 조화로운 발전을 통해 밝은 미래로 나가자'는 의미를 담은 '협심도진(協心圖進)'을 신년 화두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군정 운영에 집중하고 있다"고 제시했다.
또 "▲ 수소산업 육성 ▲ 부안형 푸드플랜 정착 ▲ 글로벌 휴양관광산업 활성화를 축으로 한 '세 바퀴 경제'는 기존의 농업과 자연경관 중심의 산업 구조를 넘어 부안의 지속 가능한 지역 경쟁력 확보 기틀을 위한 혁신적인 경제 모델도 다져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는 그간 다져온 견고한 군정 기반을 바탕으로 전 분야의 성과를 본격 창출ㆍ확산해 희망의 역사를 쏘아올려 기회의 관문으로 만드는 등 각 정책 비전 비전을 2025년에 그치지 않고 2030년까지 중장기적 목표를 설정,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한다는 구상이다.
생활인구(전통적 개념인 등록 인구 이외에 통근ㆍ통학ㆍ관광 등을 위해 머문 월 1회 하루 3시간 이상 특정 지역에 체류하는 사람까지도 포함하는 새로운 인구 개념) 증대 사업에 대한 강력한 의지도 내비쳤다.
지난해 정부가 행안부ㆍ법무부의 주민등록과 외국인등록 자료ㆍ통신 3개사(SKTㆍKTㆍLG U+)와 카드 4개사(신한ㆍBCㆍ삼성ㆍ하나) 및 신용정보사(KCB) 등 10개 기관의 자료를 통계청이 고시한 자료에 따르면 부안군은 지난해 월평균 32만명이 체류한 것으로 집계됐다.
체류 인구 연령층 비율은 매력적인 도시라는 의미인 40~60대 중장년층이 가장 많았고 카드 사용 합계액은 전체 카드 사용액의 43.2%를 차지해 지역 경제 활성에 기여했다.
인구감소 지역의 관광객 유입이 지역 생산과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여행 지출액이 1% 증가할 때마다 고용은 0.18ㆍ생산은 0.1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부안군은 이에 따라, 매력적인 도시로 인식하고 있는 40~60대 중장년층을 비롯 자녀 양육과 소비 주체의 핵심인 중장년층 재방문 및 청년층(20~30대)도 찾아올 수 있는 체류 인구 다각화 방안을 추진해 2030년까지 연평균 2,000만명의 생활 인구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올해는 생활 인구 기본조례 제정ㆍ부안사랑인 홈페이지 구축 등 특색있는 지역자원과 연계해 월평균 40만명을 목표로 설정했다.
한편, 전국적으로 지방소멸을 막기 위한 맞춤형 정책 개발을 서두르고 있고 타지에서 숙박을 목적으로 방문한 인구보다 당일치기 여행 또는 출ㆍ퇴근 목적의 유동 인구인 생활유형에 따라, 전체로 보면 긍정적이지만 현미경으로 보면 그렇지 않아 8만명 유치 계획은 의문으로 남는 대목이다.
노력에 따라 충분히 성과를 낼 수 있는 지역 예산 확보 도움과 지속 가능한 인구 증가 결실로 이어질 수 있도록 잠시 방문한 사람을 다시 찾아오게 하고 주말마다 그 지역에 머무는 정기 체류자로 유도할 수 있도록 응급의료 확충ㆍ관광객 동선 및 실태를 면밀하게 파악해야 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uan County Mayor Kwon Ik-hyun holds 'New Year Press Conference'
Presenting a joint challenge… Sharing direction and priority tasks for military administration in 2025
Reporter Kim Hyeon-jong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Buan County Governor Kwon Ik-hyun announced key policies to find answers to overcoming local extinction in the era of population cliff at a New Year's press conference held on the 9th.
At this event, County Governor Kwon began by saying, "Despite the difficult conditions last year, we achieved various achievements, such as achieving a budget of KRW 800 billion, fostering a new eco-friendly energy industry centered on the Buan-type hydrogen industry, and breaking ground on a large-scale tourism development project."
He said, "This year is an important year in which the various achievements of the 8th popularly elected Buan military government must come to fruition." He added, "We will do our best to create a sustainable Buan by actively respon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and at the same time turning the military government’s achievements into great results through constant innovation." He said.
In particular, he said, "We will gather administrative power so that the next generation of Buan can dream bigger dreams and open a new future," and "Designate Saemangeum agricultural land area 7 as a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ttract international K-pop schools, and reflect the national plan for the west coast railway network construction project." "We will do our best to make it happen," he added.
He continued, "We are focusing on the rapid and efficient operation of military government as our New Year's topic, 'Let's all cooperate with one mind to achieve goals and advance toward a bright future through harmonious development.'" He suggested.
In addition, "The 'three-wheel economy' centered on ▲ fostering the hydrogen industry ▲ establishing Buan-type food plan ▲ revitalizing the global recreation and tourism industry is an innovative way to build a foundation for securing sustainable regional competitiveness in Buan beyond the existing industrial structure centered on agriculture and natural scenery. The economic model is also being solidified," he explained.
This year, based on the solid foundation of military administration that has been established so far, we will create and spread achievements in all fields in earnest, launching a history of hope and turning it into a gateway to opportunity. We will not stop at 2025 but set mid- to long-term goals for each policy vision until 2030. , the idea is to respond to the crisis of regional extinction.
They also expressed a strong will to increase the living population(a new population concept that includes,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concept of registered population, people who stay in a specific area for more than 3 hours a day once a month for commuting, commuting to school, sightseeing, etc).
Last year, the government approved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the Ministry of Justice's resident registration and alien registration data and telecommunication companies(SKT, KT, LG U+), four card companies(Shinhan, BC, Samsung, Hana), and 10 institutions, including a credit information company(KCB). According to data publish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 average of 320,000 people stayed in Buan-gun every month last year.
The majority of people in their 40s and 60s were middle-aged, meaning it was an attractive city, and the total card usage accounted for 43.2% of the total card usage, contributing to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Looking at the effect of the influx of tourists in areas with declining populations on local production and employment, it was found that for every 1% increase in travel spending, employment increased by 0.18% and production increased by 0.13%.
Accordingly, Buan-gun is pursuing a plan to diversify its resident population by encouraging repeat visits by middle-aged people in their 40s and 60s, who are recognized as an attractive city, as well as middle-aged people who are at the core of child rearing and consumption, and young people(in their 20s and 30s) by 2030. The plan is to secure an average annual population of 20 million.
This year, a monthly average of 400,000 people was set as the goal in connection with unique local resources such as enactment of the basic living population ordinance and establishment of the Buan Sarangin website.
Meanwhile, there is a rush to develop customized policies nationwide to prevent local extinction, and depending on the lifestyle, the floating population is for day trips or commuting to and from work rather than the population visiting from other places for lodging purposes. It is positive when viewed as a whole, but when viewed under a microscope, it is not. Therefore, the plan to attract 80,000 people remains questionable.
To help secure local budgets that can produce sufficient results based on efforts, and to lead to sustainable population growth, emergency medical services are expanded and tourist movement is encouraged to encourage temporary visitors to return and to become regular residents who stay in the area every weekend. The point that we need to closely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is gaining persuas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