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안군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출범
상임대표 송희복… 3개 분과ㆍ위원 102명으로 구성
기사입력: 2025/02/17 [17:05]  최종편집: ⓒ 브레이크뉴스 전북 서남
이한신 기자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부안군 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17일 부안관광호텔에서 출범식 및 '제1차 정기총회'를 갖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고 있다. / 사진 = 김현종 기자  © 이한신 기자

  

▲ '하서 한마음 난타팀'이 신명나는 식전 공연으로 분위기를 한껏 고조시키고 있다. / 사진 = 김현종 기자  © 이한신 기자

  

▲ 백산 여성농어촌 아름드리 지역아동센터 '우쿨렐라' 단원들이 식전 공연 무대에 올라 '화개장터'를 연주하고 있다. / 사진 = 김현종 기자   © 이한신 기자

  

▲ 부안군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송희복 상임대표가 출범사를 통해 "빈곤과 질병ㆍ환경오염과 기후변화ㆍ경제ㆍ사회적 불평등 분야의 지속 가능 발전 목표를 이행하겠다는 취지로 지난해 결성됐다"며 "협의회가 아직 걸음마 수준의 조직이지만, 시민사회와 연대하고 미래세대와 교감하며 철저하게 준비하고 치열하게 노력해 우리 앞에 주어진 과제를 하나하나 풀어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 사진 = 김현종 기자  © 이한신 기자

  

▲ 명예회장인 권익현 부안군수가 "민ㆍ관이 공동의 목표를 갖고 함께 바퀴를 굴려 갈 때 현실이 될 수 있다"며 "지속가능발전의 가치가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건강한 미래에 관심을 갖고 '미래로 세계로 생동하는 부안 만들기'에 동행해 주기 바란다"는 축사를 하고 있다. / 사진 = 김현종 기자   © 이한신 기자

  

▲ 부안군의회 이강세 부의장이 "각 분야의 지혜와 역량을 모은다면 보다 나은 환경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는 박병래 의장의 축사를 대독하고 있다. / 사진 = 김현종 기자   © 이한신 기자

  

▲ 부안군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송희복(오른쪽) 상임대표가 전북특별자치도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엄성복 상임대표를 대신해 부안군의회 이현기(왼쪽) 의원에게 '지속가능발전인상'과 메달을 을 전수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 = 김현종 기자  © 이한신 기자

  

▲ 부안군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송희복(오른쪽에서 두 번째) 상임대표가 임영준씨(오른쪽 첫 번째) 등 3명에게 '운영위원' 위촉장을 수여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 = 김현종 기자   © 이한신 기자

  

▲ '탄소중립 생활 실천 선언'을 낭독하고 있다. / 사진 = 김현종 기자   © 이한신 기자

  

▲ 부안군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송희복(앞줄 가운데 오른쪽) 상임대표와 명예회장인 권익현(앞줄 가운데 오른쪽) 부안군수가 참석자들과 '고효율 가전제품 사용ㆍ적정 냉난방 온도 유지ㆍ개인 손수건 사용' 등의 손팻말을 들고 퍼포먼스를 연출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 = 김현종 기자   © 이한신 기자



 

전북자치도 부안군 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17'1차 정기총회'를 갖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이날 부안 관광호텔에서 개최한 출범식은 송희복 상임대표와 명예회장인 권익현 군수를 비롯 임원과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식전공연 국민의례 출범사 축사 표창장 전수 위원 위촉 탄소중립 생활 실천 선언 낭독 기념촬영 등의 순으로 약 1시간 동안 성황리에 열렸다.

 

참석자들은 미래세대의 요구에 부합하는 지속 가능 발전에 대한 의미와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부안발전을 위해 민ㆍ관이 함께하는 협의회가 필요하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부안군 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빈곤과 질병ㆍ환경오염과 기후변화ㆍ경제ㆍ사회적 불평등 분야의 지속 가능 발전 목표를 이행하겠다는 취지로 결성됐다.

 

송희복 상임대표는 "지속 가능 발전이 현재와 미래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고 말문을 연 뒤 "인구감소ㆍ고령화ㆍ청년인구 유출 등 부안군이 직면한 현안 해결을 위해 범군민 운동기구를 만들었다""군민들의 의견을 다양하게 수렴해 지역의 발전과 혁신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지역사회와 협력을 한층 강화해 농업농촌 현실화를 비롯 관광 부안ㆍ새만금 7공구 산업단지화ㆍ수소경제 실현 등 부안군정의 환경ㆍ사회ㆍ경제 정책에 발맞춘 의미 있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협의회가 아직 걸음마 수준의 조직이지만, 시민사회와 연대하고 미래세대와 교감하며 철저하게 준비하고 치열하게 노력해 우리 앞에 주어진 과제를 하나하나 풀어나가는 노력에 적극 활동해 줄 것"을 덧붙였다.

 

명예회장인 권익현 부안군수는 축사를 통해 "지난 1년 동안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와 함께 참여하는 소통과 협력의 대표 거버넌스로 활동한 노력 덕분에 부안군은 지속 가능한 발전의 기틀을 마련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었다"며 노고를 격려했다.

 

이어 "우리 사회는 지금 급격한 인구감소ㆍ기후변화ㆍ기술의 도약 등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메가 트렌드를 마주하고 있다""부안군은 '수소산업 육성ㆍ부안형 푸드플랜 구축ㆍ글로벌 관광도시 조성'이라는 세 바퀴 경제를 중심으로 첨단산업과 농업ㆍ관광이 융합된 혁신모델은 부안의 자랑스러운 발전 사례로 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업과 소셜스타트업 및 정부ㆍ공공기관ㆍ비정부기구(NGO) 등이 공공의 아젠다 위에서 협력하는 구조를 만들어 가는 게 목표인 부안형 ESG+N 정책과 생활인구와 청년 고용률 도내 1위 달성은 우리만의 차별화된 전략으로 지방소멸 극복의 모범 사례를 제시하며 부안이 지속 가능한 미래도시로 자리매김하는데 큰 밑거름이 되었다"고 말했다.

 

또한 "올해는 상업용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에서 하루 1톤의 수소가 생산된다""이를 바탕으로 2028년까지 수소도시를 조성하고 2030년까지 대규모 그린수소생산단지 구축을 통해 전국 최초 수소에너지 자립 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제시했다.

 

끝으로 "민ㆍ관이 공동의 목표를 갖고 함께 바퀴를 굴려 갈 때 현실이 될 수 있다""지속가능발전의 가치가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건강한 미래에 관심을 갖고 '미래로 세계로 생동하는 부안 만들기'에 동행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부안군 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상임대표ㆍ명예회장 3명ㆍ감사 2명ㆍ당연직 의원 9명ㆍ운영위원 16명ㆍ위원 70명ㆍ3개 분과로 구성됐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uan-gun 'Sustainable Development Council' launched

Standing Representative Song Hee-bokConsists of 3 divisions and 102 members

 

Reporter Lee Han-shin

 

The Jeonbuk Self-Governing Province Buan-gun Sustainable Development Council held its ‘1st regular general meeting’ on the 17th and began full-fledged activities.

 

The launch ceremony, held at the Buan Tourist Hotel on this day, was attended by over 100 people, including executive representative Song Hee-bok, honorary chairman Kwon Ik-hyeon, county governor, executives and officials, and lasted for about an hour in the order of pre-ceremony performance national ceremony launch speech congratulatory address handing over of commendations appointment of committee members reading of the carbon-neutral lifestyle declaration commemorative photo. It was held successfully.

 

Participants formed a consensus on the meaning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meets the needs of future generations and the need for a council where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work together to develop Buan without leaving anyone behind.

 

The Buan-gun Sustainable Development Council was formed with the purpose of implement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 the areas of poverty, disease, environmental pollution, climate change, and economic and social inequality.

 

Standing Representative Song Hee-bok began by saying, "Sustainable develop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and added, "We have created a pan-county movement organization to resolve the current issues facing Buan-gun, such as population decline, aging, and youth population outflow. We will collect a variety of opinions from residents and contribute to regional development and innovation."

 

In particular, he emphasized, "We plan to further strengthen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promote meaningful projects in line with the Buan County Government's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such as the realization of agricultural and rural areas, the industrial complex of Buan and Saemangeum Zone 7 for tourism, and the realization of the hydrogen economy."

 

He added, "Although the Council is still a nascent organization, we will actively work in solidarity with civil society, communicate with future generations, prepare thoroughly, and work hard to solve each and every task before us."

 

Buan County Governor Kwon Ik-hyeon, honorary chairman, encouraged the hard work in his congratulatory speech, saying, "Thanks to our efforts as a representative governanc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various entities in the local community over the past year, Buan County was a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open up new possibilities."

 

He continued, "Our society is now facing mega trends that have never been experienced before, such as rapid population decline, climate change, and technological leaps," and added, "Buan-gun is holding the innovative model of fusion of high-tech industry, agriculture, and tourism centered on the three-wheel economy of 'fostering the hydrogen industry, building Buan-type food plan, and creating a global tourist city' as a proud example of development for Buan."

 

He also said, "Buan-type ESG+N policy, which aims to create a structure in which companies, social startups,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s) cooperate on the public agenda, and achieving the highest living population and youth employment rate in the province have laid a great foundation for Buan to establish itself as a sustainable future city by presenting an example of overcoming local extinction with our own differentiated strategy."

 

He also said, "This year, 1 ton of hydrogen will be produced per day at a commercial water electrolysis-based hydrogen production base. Based on this, we will do our best to create a hydrogen city by 2028 and build a large-scale green hydrogen production complex by 2030 to become the nation's first hydrogen energy self-sufficient city."

 

Lastly, he said, "It can become a reality wh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work together with a common goal," and added, "I hope you will take interest in the healthy future of the local community so that the value of sustainable development can be widely spread, and join us in 'making Buan a vibrant world for the future.'"

 

Meanwhile, the 'Buan County Sustainable Development Council' consists of a standing representative, 3 honorary presidents, 2 auditors, 9 ex officio members, 16 steering committee members, 70 members, and 3 subcommittees.

<ⓒ 브레이크뉴스 전북 서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목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고창군 '관광사진 공모전 수상
많이 본 뉴스